책을 읽다가 인용된 앙리 푸엥카레의 글에서 이상한 느낌을 받았다
‘기상학자들이 자신있는 일기 예보를 하는데 그토록 애를 먹는 이유는 무엇일까?
소나기라든가 심지어는 폭풍조차도 우연히 발생하는 것처럼 보이고,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일식이 나타나게 해달라고 기도하는 것은 당치 않은 일이라고 스스로 여기면서도,
비가 오게 해달라고 날씨가 맑게 해달라고 기도를 올리는 것은 지극히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1914[1909], 68~69
본래 내용은 카오스 이론에 대해서 언급하면서
어떤 물리계가 초기조건에 대해 민감하다는 사실을 이야기하다가
무심결에 이러한 이야기를 하고 있었다.
나는 이 구절을 읽고 순간 아주 이상한 느낌을 받았다.
기도의 행위와 내용 속에는 늘 인간적인 확률계산이 들어가 있는 것은 아닐까?
인간적으로 일어날 가능성이 얼마나 되어 보이는지는 다를지 몰라도 과학적인 측면에서라면
즉 내일 비가오는 것이나 몇월몇일에 일식이 일어나는 것이나 같은 인과율의 원리의 지배를 받고 있다.
그렇다면 하나님께서 일하시는 것은 이러한 인과율 너머에서 일하시는 것이라고 생각해야한다.
그러나 우리의 사고도 물리계 내부의 인간의 이해의 정도에 비례하게 가능성여부를 판단하고 있다.
우리가 내일 비올 확률에 대해서 개기일식만큼이나 확실한 정보로 추측가능하다면 내일 비가 오게
해달라고 기도할 것인가? 이러한 질문에 바른 답변을 하려면 신앙은 인간의 상상력을 초월해야한다는
것이 나온다.
예수님께서는 기도를 언급하실 때에 먹을 것 입을 것을 구하지 말고, 하나님의 나라와 의를 구하라고 했다.
기도를 할 때 먼저 하나님의 나라와 의가 우선시 되어야 한다, 삶과 관련된 필요는 하나님께서 궁극적으로
책임을 지신다고 하셨다. 물론 필요에 대해서 언급하는 것이 잘못은 아니다.
그러나 기도의 내용 속에 인간적인 한계선이 개입될 여지가 얼마나 많은가 이 책의 구절을 보면서
한번더 생각해보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