딕스와 종교(스크랩)

“인류근본의 주제들, 나는 그것들을 내눈으로 보기를 원한다”.

딕스의 이 신앙고백은 그가 그의 생애에 걸쳐 제작해 온 그의 우의적이고 종교적인 주제의 작품세계를 이해하는 열쇠를 준다. 그가 죽기 몇 년 전에 그는 자신이 중요하다고 생각했고, 줄곧 그에게 해당되었던 일련의 문제에 대한 입장을 확고히 했는데, 우선 그의 친구들과의 대화 중에 즉흥적으로 녹음했고, 그 후 1963년에는 레코드로 제작되었다. 그는 이 녹음에 성경과 종교와 자신의 관계를 상세히 표현했다.

더 보기 “딕스와 종교(스크랩)”

오토 딕스, 십자가에 달리심 (The Death of Jesus)


이 이상 슬프게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을 묘사한 그림을 본 일이 없다.

채찍에 맞아 찢어진 몸 정면을 응시하는 고통스런 표정. 어두운 배경. 슬픔에 찬 사람들의 표정.

오토딕스는 아름답게 묘사된 십자가 처형 장면을 거부하였다. 있는 그대로의 고통을 표현하고자 했다.
한스홀바인의 ‘무덤속 그리스도의 주검’ 맥락과 비슷한다. 예수 그리스도는 전혀 ‘아름답지’ 않다.

벨라스케스의 그림과 얼마나 다른가?

오토 딕스, ‘산상수훈’


예수님은 마치 산처럼 위대해 보인다. 그 밑에 사람들은.. 가난하고, 애통하고, 핍박받는 자들…
예수님께서는 산상수훈에서 가난한 자들, 애통하는 자들, 마음이 온유한 자들, 핍박받는 자들에게 복을 말씀하셨다.

예수님의 산상수훈은 천국복음의 진수였다. 그 말씀으로 하나님의 나라를 사람들에게 일깨워주셨다.
하나님의 나라는 마음이 가난한 자들, 겸손한 자들의 것이다.

그림의 구도가 특이하다. 예수님을 크고 안정되게 꽉찬 삼각형 구도로 그렸다. 배경에 흐릿한 산들을 그려넣어 예수 그리스도와 비교하고 있다. 표정은 너무나 평범하면서도 자애롭다.

오토 딕스, ‘천국에서 가장 큰 사람’


그 때에 제자들이 예수께 나아와 가로되 천국에서는 누가 크니이까
예수께서 한 어린아이를 불러 저희 가운데 세우시고 가라사대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리 너희가 돌이켜 어린아이와 같이 되지 아니하면 결단코 천국에 들어가지 못하리라’


‘그러므로 누구든지 어린아이와 같이 자기를 낮추는 그 이가 천국에서 큰 자니라’ (마 18:1-5)


—————————————————————————————-


오토딕스가 그린 예수님은 누구보다도 평범하다. 어찌보면 파격이라고도 할 수 있을 듯.
그는 기존의 우아한 예수님의 그림들을 못마땅하게 여겼다.


—————————————————————————————-


저 두 사람은 예수님의 말씀을 들으며, 또 이 어린아이를 보며 무슨 생각을 품고 있을까.
예수님의 대답을 듣고 실망을 했을지도, 어쩌면 반대로 큰 깨달음을 얻었을지도 모르겠다.


근데 저 표정을 보면 무언가 섭섭한 표정들이다. ‘너정도면 천국에서 큰자다.’ 이 말이 듣고 싶었던 것일까.


어린아이의 표정을 보자. 어린아이는 무엇을 생각하고 있나?
내가 보기엔 저 어린아이는 자기는 천국에서 큰 자가 되던 작은 자가 되던 별로 관심 없다는 표정인 듯하다.
자기가 왜 여기 서있는지 예수님께서 왜 부르셨는지 잘 모른다.


둘의 마음은 얼마나 대조적인가.

오토 딕스, ‘승리의 입성’


저것이 승리인가. 승리자의 표정인가. 당나귀는 왜 저리 조용히 눈을감고 침묵을 지키고 있나.


군중들은 무엇을 바라보고 무엇을 느끼고 환영하고 있나. 종려나무 가지는 왜 흔들고 있나.
그들이 외치는 ‘호산나(우리를 구원하소서) 다윗의 이름으로 오시는 이여.’ 는 무슨 말인가.


다윗처럼 이스라엘 백성의 왕이 되어서 자기들의 적들을 처부숴 달라는 주문이었겠지.


그러나 그들의 적은 로마도 다른 이방 족속들도 아닌 것을.


예수님께서는 그들의 진정한 적. 죄, 율법,
그것으로부터 자유를 주시기 위해 그들 대신 그 저주를 받으신 것임을. 그들은 알지 못했다.
예수님께서 예루살렘에 오신 까닭은 죽기 위하심임을 그들은 알지 못했다.
그들이 기대한 것은 다윗왕 시대의 그 강성하던 이스라엘 나라를 만드는 것이 전부였을테니.


그래서 저들은 순식간에 예수 그리스도를 십자가에 못박는 살인마로 돌변한 것이다.


예수님께서는…
모든 것을 이미 알고 계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