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토 딕스, 십자가에 달리심 (The Death of Jesus)


이 이상 슬프게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을 묘사한 그림을 본 일이 없다.

채찍에 맞아 찢어진 몸 정면을 응시하는 고통스런 표정. 어두운 배경. 슬픔에 찬 사람들의 표정.

오토딕스는 아름답게 묘사된 십자가 처형 장면을 거부하였다. 있는 그대로의 고통을 표현하고자 했다.
한스홀바인의 ‘무덤속 그리스도의 주검’ 맥락과 비슷한다. 예수 그리스도는 전혀 ‘아름답지’ 않다.

벨라스케스의 그림과 얼마나 다른가?

밀레, ‘만종’


The Angelus 1857-59 Oil on canvas 21 3/4 x 26 inches

하루의 일과를 마치고 들려오는 교회 종소리에 부부는 고개를 숙여 감사의 기도를 드린다.
성경에 나오는 어떤 인물도, 천사도, 나오지 않지만,
나는 밀레의 이 그림이 이 세상에서 가장 경건하고 아름다운 그림이라고 생각한다…

만일 내가 고등학교 1학년 때 우연한 계기로 하나님의 존재를 받아들이지 않았다면,
난 아마 이 그림을 보고 하나님을 믿었을 것이다.

그만큼 이 그림은 경건하고 엄숙하며, 따뜻하고, 때론 신비스럽게 느껴진다.

삶을 이토록 아름답고 의미있는 시선으로 바라보는 그림이 또 있던가.

카라바조, ‘다메섹 도상에서의 회심’


The Conversion on the Way to Damascus, Santa Maria del Popolo, Rome

젊은 청년 바울, 굉장히 특이하면서, 난 이 그림이 바울의 회심을 굉장히 잘 그려냈다고 생각한다.
바닥에 납작하게 그려진 바울의 구도와 그 위에 쏟아지는 빛, 감고 있는 눈, 마치 상상처럼 펼쳐지는 그의 사도로서의 미래.

말, 마부는 아무것도 모르지만 바울과 나는 알고 있다.
예수님의 음성을 들었을 대의 바울의 마음은 어떠했을까. 그의 심리를 표현하려면 아마도 저런 무표정이 다른 것들보다 제격일 것이다.

위로 쭉 뻗은 양팔은 표정과 굉장히 대조적이다. 그는 표정이 변하지 않는대신 두 손으로 놀라움과 감격, 충격을 말하고 있다.

Shepherdess with Her Flock 1864 Oil on canvas


글쎄, 이 그림이 주는 느낌을 어떻게 표현해야 할까.


가로지른 지평선, 구름 사이로 비추는 태양의 빛,


소녀의 시선과 그 소녀를 따르는 양무리…


뭐라고 설명하기가 어렵다. 대자연 속에 소박한 일거리와 함께 살아가는 한 소녀의 모습이 웬지모를 깊은 경건한 마음을 불러일으킨다.

카라바조, ‘이삭의 희생’


The Sacrifice of Isaac, 1590-1610, oil on canvas, Galleria degli Uffizi, Florence


이삭의 희생은 중세시대 중요한 주제 중 하나였다고 한다. 노인, 어린아이, 동물(양), 천사가 함께 들장하고, 그들의 심리가 각각 제각각이어서 화가의 재능을 시험하는 도구라고 들은 것 같다. 카라바조의 그림을 보면 인물의 내면 심층이 드러난다. 이삭은 고통스런 표정을 하는데, 이는 카라바조라는 사람 자체가 워낙 사실주의적인 성격을 가졌기 때문이지, 안그랬으면 이삭은 기도하는 모습으로 후광이 드리워져 있었을 것이다. 아무튼 이삭의 표정은 카라바조 만의 것이다.


그래도 아브라함의 표정은 굉장히 이상적이다. 저 단호한 눈빛은 천사가 나타난 후에라도 ‘방해하지마’라고 말하는 것만 같다.


머리를 내민 어린양의 모습은 겸손하기 짝이 없으며, 예수 그리스도를 보여준다. 그 뒤로 보이는 건물은, 굉장히 밝은 빛으로 휩싸여 있으며, 히브리서에서 말하는 영원한 도성을 의미하는 것만 같다. 아브라함의 믿음, 그의 믿음은 영원한 도성을 바라보는 것이었고, 그 약속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밝히 드러났다. 천사는 양을 직접 가리키지 않고 중간쯤 손가락으로 가리키는데 이는 양과 그 아브라함에게 주어진 영원한 성을 모두 가리켜 보여주고 있는 것만 같다.


이삭의 순종은 조금 부각되지 못한 것이 아쉽지만 아브라함과 그에게 주어진 하나님의 영구한 도성을 감동깊게 드러내었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