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라스케스, ‘마르다와 마리아 집에 찾아온 예수’


좋은 내용의 글이어서 여기에 옮겨 실었습니다. 도계성산교회 조덕근 목사님의 글로 홈페이지에서 퍼 온 것임을 밝힙니다. (http://dokyesungsan.net)

마르다는 건장한 팔뚝으로 마늘을 찧고 있다. 마늘을 까서 넣어야 하는데 채 다 까지 못한 마늘이 작은 절구 주위에 널려 있다. 눈을 멀뚱히 뜨고 마르다의 요리를 기다리는 생선들과 막 껍질을 벗겨놓은 계란이 놓여 있다.

  저쪽에 있는 예수님은 의자에 앉아계시고 마리아는 ‘주의 발 아래 앉아 그의 말씀을’ 경청하는데 마르다는 앉지도 못하고 서 있다. 약간 앞으로 기운 불안정한 자세다. 오른손은 절구공이를 잡고 왼손은 절구를 완전히 감싸 쥔 것이 아니라 슬쩍 잡고 있다. 절구공이를 쥔 손에는 힘이 들어가 있다. 오른손으로는 힘있게 내려치지만 왼손이 절구를 꽉 붙들어주고 있지 않기 때문에 마늘이 튀려고 한다.

  이 그림은 누가복음 10:38-42을 형상화하고 있다.

  저쪽의 마리아는 숄 같은 것으로 윗몸을 감싸고 있는데 마르다는 행주치마로 아랫몸을 감싸고 있다. 마리아는 머리를 풀고 있는 반면에 마르다는 헤어밴드로 머리를 질끈 동여맸다. 일을 하는데 머리털이 방해가 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다. 마리아는 다소곳이 손을 모으고 옷 속에 손을 감추고 있는데 마르다는 팔뚝을 걷어붙이고 있다. 예수님과 마리아가 있는 쪽은 밝고 이쪽은 어둡다. 그런데 생선과 계란은 유난히 빛나고 있다. 마르다가 해야 할 일이 많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듯하다.

  마르다 옆에 서서 손가락으로 마르다의 팔뚝을 찌르듯이 하면서 마르다에게 뭔가 말하는 노파가 있다. 저쪽 마리아의 뒤에도 노파인지 젊은 여잔지 분명치 않지만 한 여자가 서 있다. 그녀도 역시 마르다에게로 팔을 뻗치고 있다. 마치 마리아를 뒤에서 안으려는 듯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이 두 여자는 무엇일까?

  마리아는 예수님의 말씀을 듣는데 온 힘을 기울이고 있다. ‘마리아는 이 좋은 편을 택하였으니 빼앗기지 아니하리라'(42절). 마리아는 그 뒤에 있는 여자에게 마음을 빼앗기지 않는다. 마리아의 자세는 흐트러지지 않았고, 마리아 뒤에 있는 여자의 자세가 흐트러져 있다. 마리아가 이긴 것이고 뒤에 있는 여자가 진 것이다.

  마르다 뒤에 있는 노파는 매우 침착하게 여유만만하게 마르다에게 말을 건네고 있는 반면에 마르다는 불안정하다. 마르다의 윗옷 어깨부분과 팔목 부분에 주름이 많이 져있다. 마르다의 불안정한 마음을 보여주는 듯하다. 마르다의 표정은 금방 울분을 토할 듯하다. 손으로는 마늘을 찧고 있지만 눈은 절구쪽이 아니라 엉뚱한 곳을 향하고 있다. 그렇다고 뒤에 노파를 바라보는 것도 아니다. 노파의 시선은 정확하게 마르다를 향하고 있다. 마리아는 뒤에 있는 여자에게 이겼지만 마르다는 뒤에 있는 노파에게 졌다. ‘마르다는 준비하는 일이 많아 마음이 분주한지라'(40절). 일에 전념하지 못했다. 마르다가 일에 전념했으면 일하기에 바빠서 ‘예수께 나아가’ ‘주여 내 동생이 나 혼자 일하게 두는 것을 생각지 아니하시나이까 저를 명하사 나를 도와주라 하소서'(40절) 라고 말할 여유도 없었을 것이다. 마르다는 ‘마음이 분주’했다. 마음이 갈래갈래 나뉘어졌다. 마르다는 ‘많은 일로 염려하고 근심’하고 있었다(41절).

  마르다와 마리아의 뒤에 두 여자는 성경에는 나오지 않는다. 두 여자를 그려넣음으로 마리아와 마르다의 마음이 향하고 있는 곳을 시각화하고 있다고나 할까?

  이 그림을 해석하는 전문가들은 ‘예수의 방문이 거울 속에 비친 이미지로 나타나 있다’고 한다. 그렇다면 마르다가 자기 자신을 거울에 비추어본 모습이 마리아가 예수의 발치에 앉아 말씀을 듣는 것이었다는 말인데……? 성경 본문을 해석하는 또 하나의 통로를 제공해준다. 마리아와 마르다를 우리 자신의 두 모습으로 볼 수 있게 해준다. 저렇게 다소곳이 앉아 어떤 유혹에도 굴하지 않고 천상의 말씀을 듣고 싶은 것이 나의 진정한 소원이다. 그런데,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할 일이 산적해 있고 일이 많다보니 손은 재게 놀려지지 않고 절구는 자꾸만 흔들리고 마늘 조각은 튀고 생선은 나를 비웃듯이 멀뚱한 눈으로 입을 비쭉거리고 있다. 다 떨쳐 버리고 저리로 가지도 못한다. 현실은 마르다 뒤의 노파처럼 집요하게 나에게 해야 할 일을 제시하고 나는 저쪽을 바라보지도 못하고 그렇다고 음식을 다 만들고 가기 위해서 음식만드는데 열중하지도 못하고 ‘어쩔까!’ 그림을 보는 사람에게라도 도움을 청하고 싶을 정도로 괴롭다.

  마르다가 있는 쪽과 마리아가 있는 쪽 사이에는 심연처럼 검은 어둠이 놓여 있다. 양쪽으로 왔다갔다하면서 그림을 보다보면 그 중간의 어둠에 눈이 가게 된다. 마르다가 있는 현실과 마리아가 있는 이상 사이의 그 어둠의 어디쯤에서 분주한 삶을 살아가는 나의 모습이 어렴풋이 모습을 드러내고 있지 않는가?

                                                                                                            2000년 8월 29일 조덕근 씀

루벤스, ‘의심하는 도마’


카라바조의 그림과 비교하며 보면 재미있다. 루벤스와 카라바조는 거의 동시대 사람이다.
이 그림에서의 그리스도는 기품이 있고 위엄이 넘쳐보이는 신성한 사람으로 보이는 듯 하고, 카라바조의 그리스도는 상대적으로 평범한 인물로 보인다.
저 두 팔을 벌린 포즈는 루벤스 그림에서 자주 나오는 모티브이다.

두 제자는 놀란 듯이 보고 있고 한 제자는 눈을 들어 쳐다보고 있다. 생각건데 저 얼굴이 도마인 것 같다. 표정을 봐도 잘 못믿겠다는 표정이다.
두 부류의 제자들이 명확하게 대조를 이루고 있다. 도마가 예수 그리스도를 쳐다보는 눈길은 심상치 않다.

루벤스, ‘십자가에서 내림’


The Deposition, 1612, oil on wood, Antwerp Cathedral


렘브란트의 십자가에서 내리는 그림과 비교해서 보면 재미있다. 그림의 내용도 같고 시점도 비슷하지만 좀더 클로즈업 되어 있고, 루벤스 답게 색이 풍부하다.


남자의 붉은 옷과 흰 두루마기가 눈에 확 드어온다. 붉은 옷은 마치 흘러내리는 보혈을 상징하는 듯하다. 예수님의 몸의 묘사는 매우 건장한데 이것은 또한 한스홀바인의 그림과 비교해보면 좋다.


그가 이렇듯 건장하게 그린 것은 그저 아름다운 육체의 표현을 하고 싶었던 것이고, 주제는 그 목적을 위한 도두였던 것 같다. 그림의 주제보다는 대각선 구도나 육체표현 등의 미술적인 것에 더 관심을 가지고 그린 그림이라고.. (아는 것은 없지만) 마치 그렇게 보인다. 램브란트나 한스홀바인의 그림보다는 감동은 덜하다. 하지만 흰색과 붉은 색의 대비는 아주 강렬한 인상을 준다.


그러나 이 그림은 어쨌거나 비통한 그림이며, 여인들의 표정묘사도 그렇다. 그리스도의 표정은 완전히 지친 듯하다.

The Artist’s Studio, 1665, oil on canvas, Kunsthistorisches Museum at Vienna


이런 그림을 알레고리화라고 한다. 그림의 사물마다 의미를 담고 있는 그런 종류의 그림 말이다.
이 그림에서 베르메르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이것이다. ‘화가란 어떤 사람인가?’

소녀가 보인다. 한 손에는 나팔을 그리고 다른 한 손에는 책을 들었는데 이런 모습을 한 여인을 ‘역사의 뮤즈’라고 한다. 이 책은 투키디데스의 책이며, 월계관을 쓰고 있으므로 ‘명성’을 상징한다.

책상에는 가면이 보이는데 이것은 모방을 의미한다. 화가가 그리고자 하는 것은 단순한 모방이 아니다. 그는 세계를 배경으로 하는 역사를 그리며

화가는 그림을 순서없이 월계관먼저 그리고 있다. 이는 화가의 의도를 나타내는데 한번 들은 설명이라 기억이 나지 않는다.

커튼은 숨겨진 것을 드러낸다는 의미이다.

베르메르는 다른 그림은 다 팔았어도 죽을 때까지 이 그림만은 팔지 않았다고 전해진다. 그의 야망이 담긴 작품이다.

베르메르, ‘마리아와 마르다의 집의 그리스도’



Christ in the House of Mary & Martha, 1654-55, National Gallery of Scotland, Edinburgh.
베르메르 – Christ in the house of Martha and Mary 1654-55년경, <위>

그림의 내용은 예수가 마리아와 마르다의 집을 방문했을 때를 묘사하고 있다. 언니 마르다는 식사준비로 바쁜데 동생 마리아는 예수의 발 아래 앉아 말씀을 듣고 있었다. 마르다는 예수께 나가, 마리아가 일을 도와주지 않는다고 불평을 했다. 주께서는 이에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다. “마르다야 마르다야 네가 많은 일로 염려하고 근심하나 그러나 몇 가지만 하든지 혹 한 가지만이라도 족하니라 마리아는 좋은 편을 택하였으니 빼앗기지 아니하리라”(누가복음 10장 41~42)
이 이야기는 당시 네덜란드, 플랑드르, 이태리에서 유행했고. 특히 플랑드르에서 인기있는 주제였다고 한다. 베르메르는 이 주제를 그린 플랑드르 그림들을 알고 있었을 것이다. 그의 그림은 특히 안트워프 화가 Erasmus Quellinus의 작품과 유사성을 지닌다.<아래>

두 그림을 비교해보면 재밌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베르메르와 Quellinus의 작품은 같은 주제이지만 내용은 다르다. 베르메르는 마리아와 마르다에게 같은 비중을 두었고, 그것은 굉장히 마르다를 높이 평가한 것이다. 예수님께서는 마리아를 칭찬하시고 불평하는 마르다를 나무라셨다. Quellinus의 그림을 보면 그 느낌이 온다. 마리아는 예수님 곁에서 둘이 함께 이야기를 나누는 반면 마르다는 등을 돌리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마리아와 마르다는 구원을 얻는 두가지 방편을 상징하고 있다.
마리아는 구원이 오직 하나님의 은혜로만 얻는 것임을 상징하고 마르다는 구원을 얻는 방편으로서 행위를 상징한다.

Quellinus는 마르다는 그림의 중요인물에서 제외시켰다. 그는 이 그림을 통해서 ‘구원은 오직 은혜로, 믿음으로 얻는 것’임을 강조한 것이다. 이것은 당시 프로테스탄트들의 모토였다. 오직 성경으로, 오직 믿음으로, 오직 은혜로. 그는 개신교인이었던 것이다. 그래서 그의 미술에는 그러한 프로테스탄트의 사상이 적용된 것이다. 그러나 베르메르는 후에 로마카톨릭으로 개종하였다. 그래서 그의 그림을 보면 마리아와 마르다가 동일하게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카톨릭은 믿음과 행위의 적절한 조화를 강조하였다.

어찌보면 카톨릭의 이러한 사상이 더 설득력있게 다가올지 모른다. 그러나 바울사도가 갈라디아서에서 분명히 논증하듯이, 의롭다함을 받는 방편으로서, 율법과 행위가 중요시 된다면 그리스도는 더 이상 무의미한 것이되며, 우리는 초등학문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오직 믿음으로 의롭다함을 받고 은혜로 구원을 얻는다. 이 믿음은 참된 자유를 가르쳐준다. 사도 바울은 이 진리를 얼마나 강조하였는지 모른다.

그림 속에 당시 종교개혁의 두 교리가 다르게 숨겨져 있다는 사실은 굉장한 흥미를 불러일으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