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생각을 해본 적이 있다.
이 세상에 모든 것은 똑같이 존재하나 나 이외의 다른 인간이 아무도 존재하지 않는다면
나의 존재의 의미는 변해야 하는 것일까
외부적인 상태에 의하여..?
그러면서 한가지 질문을 해보았다.
내가 만일 그 상황에서 어떤 아름다움 음악을 발견하거나 하늘의 구름의 신비한 모습을
하나 발견했다고 하자. 그렇다면 내가 그러한 아름다움을 공유할 사람, 저런 것을 함께 보여
주고 싶은 그런 사람의 존재가 없는 상황에서 그러한 것들을 즐길 수 있는 것일까.
아름다움을 즐긴다는 것은 항상 다른사람들과의 소통을 염두에 두고 즐기는 것일까.
나는 그렇지 않다고 보았다. 아름다움은 그 자체로 감동을 준다.
그렇다면 그 감동이란 어떤 것일까. 인간적인 예술작품을 보며 나는 아름다움을 느낀다.
처음에는 그러한 아름다움이란 다른 인간의 노력이나 그들의 감정과 소통하는 것에서
비롯된다고 생각했다. 그렇다면 아름다움의 의미는 역시 인간들 간의 소통에서 발견되는 것일까.
아니, 나는 인위적인 것 이외에 자연적인 것에서도 그러한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다고 생각했다.
나는 이 세계의 조화로움에 대한 인식을 가지고 있다. 내가 존재하는 세계는 내게 아름다움
이라는 의미를 보여준다. 나는 그 느낌을 어떻게 표현해야 좋을지 모르겠고 그 느낌의 의미
를 잘 모르겠다. 나는 그러한 아름다움에 대한 인식은 공유하고자 하는 초월적 존재에 대한 관심으로 옮겨간다.
마치 고흐가 그린 하늘에서 그의 내면을 만나듯이
나는 자연이 만드는 하늘을 보면서 같은 아름다움의 감정을 느낀다.
그것은 신의 존재를 너무나 가슴 깊이 와닿게 해주는 체험이다.
나는 세계에서 인간적인 어떤 것을 발견한다.
인본주의자들은 이러한 아름다움의 감정까지도 자연발생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나는 가슴에 사무치도록 아름다운 음악을 들으면서 그러한 말을 할 수 있는지 묻고 싶다.
혹은, 정말로 사랑하는 어떤 사람 앞에서
그 사랑을 어떠한 유전자의 느낌 혹은 다른 생물학적 현상으로 설명하고 싶은지 묻겠다.
탐구
의미를 찾으려는 이유는 무엇인가 의미란 무엇일까
‘의미’라는 말의 ‘의미’가 명료해지기 이전에 나는 그것을 발견할 수 없다
하지만 ‘의미’라는 말의 ‘의미’를 설명할 수 있을까?
축구장에서 골을 넣기 위해 안간힘을 쓰는 축구선수들을 떠올린다
누군가 한 시즌에서 최고 득점을 기록했다..
그것이 그의 인생의 ‘의미’라고 할 수 있는 것일까?
부정할 수 없는 것은, 그는 노력했고, 다른 사람의 능력을 앞질렀다..
하지만 그뿐이다. 그의 인생에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다른 인생의 의미를 일부 빼앗아야 한다.
그렇다면 의미, 즉 가치는 모든 사람에게 돌아갈 수 없는 정량의 자원이며
인생을 그것을 얻기 위해 투쟁하는 것인가..
왜 그것을 얻으려고 하는 거지? 결국 어떤 만족감 같은 것을 누리려는 것일까?
하지만 그것을 얻는 순간 삶은 또다시 허무에 빠지지 않는 것인가?
인간 스스로 만들어낸 게임인 축구 골대에 공을 여러 번 차 넣은 행위 자체는 아무 의미도 없지 않은가?
왜 그것을 위해서 수많은 땀을 흘리는 것이지?
그래 그 행위는 다른 이들에게 즐거움을 준다. 다른 사람들은 선수들에게 대가를 지불한다.
하지만 저런 비생산적 게임을 통해 즐거움을 누리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는 것일까
왜 즐거움이라는 것을 추구하나.. 생산적이라는 것은 무엇일까
진정 생산적이라고 할만한 행위가 있는 것일까?
평균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특별한 의약품을 개발하는 것은 의미있는 일일까?
사랑이라는 것은 의미있는 일일까
왜 이러한 것들에 대해서 고민하기 시작했을까 이러한 것들을 탐구하려는 심리는 무엇일까
영원성에 대한 갈구일까? 영원하다는 것은 더 가치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까
모든 의미는 다른 사람들과의 소통에서 생겨나는 것일까?
이 세상에 아무도 없고 나 혼자서만 존재한다면 어떤 행위도 의미없는 것이 될까?
세계에 나 혼자라면 어떠한 주제로 책을 쓰는 것이 의미있을까?
평생 지금 이 방 안에 갖혀 살아야 한다면 살아야 할 이유가 있을까?
그럼 이 방 안에 갖히지 않았다면 살아야 할 이유가 있을까?
둘의 답이 같을 수 있을까?
둘의 답이 다르다면 둘의 차이는 뭘까?
의미라는 것은 인위적인 창작물 아닐까? 인간이 스스로 부여하는 부조리한 행위가 아닐까
한계상황을 극복하려는 의지가 의미부여로 이어지는 것 아닐까?
단순히 그런 것이라면 나는 굳이 그것을 할 이유는 없다…
왜 나는 세계에 존재하는 걸까
내 몸에는 새로운 것과 옛 것이 계속적으로 교환되는데 어떻게 연속된 의식을 가지고 있는 것일까
누군가를 사랑한다면 이러한 고민이 사라질까… 사랑은 무의미한 일상을 잊게 해주는 꿈같은 것일까
그렇다면 그것은 단순히 잊고 살고 있는 것뿐이지 않을까.
잊어버린다는 것은 도피이다. 하지만 이러한 질문들의 답은 어디서도 본 적이 없으며 답이 가능하리라고
기대하지도 않는다
까뮈가 떠올려보라고 한 행복한 시지프는 도저히 그려지지가 않는다.
하지만 나는 두가지 진리라고 할만한 것을 발견했다.
하나는 미각은 자체로 즐겁다는 것, 먹는 것은 고민할 이유를 잊게 해준다. 원초적인 것은 하나의 진리이다.
또 하나 예술이 주는 아름다움, 생명에서 느끼는 아름다움에서 나는 진리에 가까운 것을 발견한다.
생명에서 느끼는 경이로움과 세계의 질서를 느낄 때마다 나는 한계가 없는 어떤 것을 떠올린다.
아름다움에 대한 감정을 가지고 있다. 아름다운 것을 보면 심장은 내가 살아있노라고 더 빠르게 뛴다.
아름다움에 대한 감정은 참으로 부인하기 힘든 신비이다. 바하의 음악은 인간의 창조물이지만
나는 그것에서 인간 이상을 본다. 나는 생명의 경이로움에서 생명 이상을 본다.
그것은 신에 대한 감각이다.
나는 숨막히는 허무감 속에서 신의 흐릿한 그림자를 더듬는다.
성경을 쓴 바울은 이런 말을 했다.
‘지금은 우리가 (청동)거울로 보는 것처럼 희미하게 보지만, 이후에는 밝히 보게될 날이 올 것입니다’
희미함 속에 나는 갑갑함을 느낀다. 나는 인간이라는 존재로 한계지워져있다.
공간과 사회적 한계, 그리고 사고의 한계, 모든 것은 한계 속에 놓여있다.
나는 예측할 수 없는 우연의 지배를 받고 있고, 해석되지 않는 신비로움 속에 살고 있다.
한계는 부자유를 의미하며, 부자유는 권태를 낳는다.
하지만 나는 그 안에서 아름다움의 가치를 논하고 있다.
미적인 것만이 의미있는 것이다. 그 속에서 나는 호흡하고 있다.
내 육체는 보이지 않는 산소를 호흡하고 내 영혼은 아름다움에 내재되어 있는 신의 느낌을 호흡하고 있다.
나는 20년 뒤에 겪을 인생의 바닥의 기분을 의도적으로 미리 당겨와서 경험하고 있다.
지독한 부자유가 내가 나의 신앙적 면모를 다 할퀴어가고 있다.
하지만 신앙은 보이지 않는 곳에 뿌리처럼 남아서 호흡을 지탱하고 있다.
나는 성부 성자 성령을 사랑한다.
이것을 ‘비약’ 이거나 ‘도피’라고 불러도 좋다. 나도 그들을 ‘편견’이라고 부를 수 있으니까.
아직 모든 것은 지독한 권태 속에 있다.
생에 대한 혹은 영원에 대한 집착이 무엇인지 나는 아직 모르겠다.
하지만 권태만큼은 진정 ‘의미’있는 경험이라고 여기겠다.
원초적인 것들의 즐거움
삶의 무의미성의 비중이 증대하면서
나에게 있었던 또다른 변화가 뭔지 알아
바로 원초적인 것들이 더 의미있어지기 시작했다는 거야
아 그 전에 나에게 무의미해진 것들이 무엇들인지 먼저 설명하겠어
하나는 사람들과의 관계야
이것이 왜이렇게 무의미해보이기 시작했을까
원인은 나도 모르겠어
언제부턴가 사람들에게 얽매이는 것이 귀찮아
하지만 잘 생각해보면
내가 다른 사람들과의 공유점을 잃어버린데서
오는 박탈감 같은데서 생긴 감정이 아닐까 싶어
그래 나는 나의 내면을 헤아려줄 사람을 찾지 못한데서
심한 소외를 느끼는 건지도 몰라
내가 독서를 통해 얻으려고 하는 것이 관계에 대한 기피가 아닌
새로운 관계성에 대한 추구라는 사실을 불현듯 깨달았어
나는 책 속에서 나를 이해해 줄 ‘사람’을 찾고 있었던거야
이것은 수준의 문제가 아닌
같은 병을 앓고 있는가에 대한 문제야
그러니 오해는 없었으면 해
그러면서 한편으로 나는 나의 그런 사회적 의존성에 대해서
새롭게 인식하기 시작한거야
왜 나는 존재를 자체로 이해하지 못하고 관계속에서 찾으려고
하는건지 스스로에게 질문하고 있는 거야
왜 무의미한 것들을 추구하도록 나의 내면이 만들어져 있는 것일까
나는 그런 질문을 하고 있는 것 같아
지금 나에게 의미를 갖는 것은 두가지야
하나는 먹는 것 먹는 것만큼 위대한 진리는 없어
그것은 고민이나 영감을 필요로 하지 않아
먹는 것 자체는 쾌락이고 즐거움인 거야
먹는 것은 날 속이지 않고 정직해
지금 내 위에 있는 아이스크림 껍데기는 진리야
나는 그것에서 쾌감을 느끼고, 좋아해
물론 이것이 지속성이 있다는 건 아냐
아이스크림이 주는 즐거움은 알지만
인간관계가 주는 즐거움을 나는 모르겠어
나는 인간관계를 소외감을 가리기 위한 치장,
노동에 불과하다고 느끼고 있는 것 같아
그런거라면 차라리 소외 자체를 드러내고 즐기겠다는 발상인거야
글이라는 친구는 참 좋은 친구야
이녀석은 대꾸를 할 줄 모르고 듣기만해
말을 잘못해도 마음껏 수정할 수 있도록 내버려두지
그리고 스스로 정리할 수 있게 항상 열린 마음을 가지고 있어
난 나를 이해할 수 있는 누군가를 상상하며 이 글을 쓰고 있는 거라고 생각해 그렇다면 이 모든 행위들이 이해가 되는거야
정리는 안된 글이지만 이쯤이면 만족한다 안녕
소통
답답해
아무도 소통할 사람이 없어
하지만 왜 그 상황이 나를 답답하게 만드는 걸까
누군가 내 상황을 이해해주기 바라는 걸까
아니,
내가 왜 그런 걸 바라는 거지?
그게 상황을 달라지게 하는 걸까
모두에게 잊혀진 존재가 되고 싶어
삶이 덧없어
모든게 무의미해 죽음만이 나에게는 의미야
난 죽음을 동경해
하지만 난 자살에 대해 말하는 것이 아니야 그건 다른 거야
어쨌거나 삶이란
덧없음에서 의미를 만들어내어
견뎌야 하는 과정일거야
왜 가을에 메말라 떨어질 것을 알면서
나무들은 그 무성한 잎사귀를
한여름 내 피워냈던 것일까
오늘 밤은 저 낙엽지는 나무와 대화해보아야 겠다
그는
자신의 잎새를 보며 무슨 생각을 하는지
내 상태
권태라는 단어도
혹은 염세주의라는 말도
무기력증이라는 단어도
대인기피증이라는 단어도
귀차니즘이라는 단어도
불신앙이라는 단어도
소통의 결여
사춘기라는 말도
조금씩은 지금의 내 상태와 비슷하지만
완전히 적당한 단어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나는
저 중에 하나를 고르라고 하면 사춘기를 고르겠다
하지만 또 골라놓고 보면 또 우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