렘브란트, ‘이삭의 희생’


The Sacrifice of Isaac, 1635, oil, The Hermitage at St. Petersburg

손에서 칼이 떨어지는 찰나를 잡은 숨막히는 듯한 그림. 이 그림은 양이 없는 것이 또 특징이라면 특징이다. 이삭이 대단히 크게 부각되고 있다. 크기도 크고 모든 빛이 그에게 쏟아지고 있다. 어쩌면 렘브란트는 이삭의 모습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모형을 찾아내려고 했는지도 모른다.
아브라함은 이삭의 얼굴을 움켜쥐었다. 그는 단호했다. 100세가 되어서 낳은 자식이라도 하나님 앞에서 아까와 할 줄을 몰랐다. 하나님의 약속에 대한 신실한 믿음 때문이었다. 그는 하나님의 말씀에 근거하여서 이삭을 다시 살려내실 것으로 믿었다. 나는 여기 아브라함의 표정에서 그 마음을 또 읽어낸다.
얼굴을 완전히 뒤엎어 버린 렘브란트의 손은 하나님의 뜻대로 순종하겠다는 단호함과, 그래도 아들의 얼굴을 차마 볼 수 없는 아버지로서의 부정(夫情)을 동시에 느끼게 해 주는 것만 같다.

카라바조, ‘마태를 부르심’


The Calling of St. Matthew, San Luigi dei Francesi, Rome


누가 마태인지 의견이 분분했던 그림…
내가 느끼기에는 자신을 손가락으로 가리키는 저 사람이 마태인 것 같다. 보통은 그렇게 생각되는 모양이다.


왼쪽 끝에 있는 사람은 얼른 돈을 숨기고 있고, 사람들의 반응은 각각 제각각이다.


오른쪽에서 쏟아지는 빛이 가운데 앉은 사람의 얼굴을 향해 쏟아지고 그는 ‘저를 부르고 계십니까?’ 하고 묻고 있는 듯 하다. 다른 사람들은 관심도 없다.


왼쪽에서 돈을 숨기기에 급급한 사람이 안쓰럽다. 나라면 이들중 어떤 표정을 지을 것인가.

카라바조, ‘모든 것을 이기는 사랑’


Amor Victorious, Staatliche Museen at Berlin

카라바조의 “모든 것을 이기는 사랑”,
근데 웃고 있는 큐피트를 보면 모든 것을 비웃고 있는 사랑이 더 어울리지 않나하는 생각도 든다.
바닥에 떨어진 모든 가치들, 사랑 앞에서는 완전히 무기력하다. 여기서는 악기들, 악보, 이런 것들밖에 보이지 않고, 나도 책에서 본 내용들을 다 기억하지 못하지만, 사랑은 모든 것을 이긴다는 의미가 그림에 담겨 있다.

보기에는 좀 이해가 안갈지 몰라도 나는 카라바조가 그린 것이
감정에 일시적으로 빠져서 인생 망치는 그런 사랑을 그린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진실한 사랑은 어떤 가치보다 위대하다. 나는 그런 그림으로 생각하고 싶다. 혹 아닐 수도 있지만.

카라바조, ‘의심하는 도마’


The Doubting of St. Thomas, Neues Palais, Potsdam

카라바조의 굉장히 유명한 그림이다. 어느 책을 봐도 나와 있는…

도마는 옆구리에 손가락을 넣어보고 있다. 이것이 첫 번째 충격이고

제자들은 하나같이 평범한 늙은이들이다. 이것이 두 번째 충격이다.

당시 사람들에게 이 둘은 엄청난 충격이었다고 한다. 왜냐하면 그 전까지 미술은 굉장히 신비스럽게 그려졌기 때문이다. 사도들은 후광을 두르고 있는 거룩한 모습으로 그려져 있고, 배경에는 천사를 그린다던지. 빛이 쏟아진다던지 하는 그런 표현이 주였다. 카라바조는 그러나 눈에 보일 법한 것들을 그렸다. 그래서 그의 그림은 현실적이다. 당시 종교계에 엄청난 비판을 받은 것도 당연하다.

네 사람의 머리는 가운데 모여있다. 예수 그리스도의 옆구리 상처에 굉장히 관심을 갖게 만드는 구도라 생각한다.
도마는 옆구리에 손을 넣어보았을까? 성경에 그건 나와있지 않았던 것 같다.

난 도마를 좋아한다.
하지만 이 그림에서 보는 것처럼 지독하게 의심하는 도마의 모습은 아니라고 본다.
내가 생각하는 도마는 좀 다른 모습이다.
카라바조는 그런 식으로 묘사하였다.

그래도 이 그림은 굉장히 강한 이미지를 심어준다. 무언지는 잘 모르겠지만.

카라바조, ‘골리앗의 머리를 든 다윗’


David with the Head of Goliath, Art History Museum, Vienna

역시 굉장히 유명한 그림이지만 내가 본 것과는 조금 다른 것이다. 하지만 여전히 둘의 표정은 생생하다.

골리앗의 머리는 죽은 머리이지만 마치 살아 있는 사람의 머리 같고, 먼 곳을 응시하는 다윗의 표정은 단호하지 짝이 없다.

지금 보니 칼의 크기가 골리앗의 것으로 보기에는 조금 작지 않나 싶다. 마치 다윗을 위한 칼 같다.
책에서 보기로 이 골리앗의 얼굴은 화가의 자화상이라고 한다. 화가는 그림 속에서 자기의 목을 베어 버린 것이다.

그리고 벤 다윗은 바로 화가의 어릴 적 자화상

카라바조는 뭘 말하려고 했던 것일까.
별 이유가 없는 것일지도 모른다.

그래도 자기 과거의 현재의 두 자화상을 한 그림에, 그리고 과거가 현재의 자아를 죽이는 내용으로 그래낸 것은 무척 특이한 발상이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