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KT 1분기 실적 컨퍼런스콜이 있었다
최근 통신업을 공부하고 있는데… 특히 휴대폰 유통구조와 관련된 관심이 많다. 상식적으로 알아놓아야 할 것 같아서… 이 유통구조와 회계처리가 복잡하여 좀 더 정리된 후에 공유할 수 있으면 공유하려 한다.
오늘 컨퍼런스콜에서 질문을 하였지만 상관없는 답만 듣고 말았다. 시간이 없어 추가질문을 못하였지만 내가 생각했던 것들 간단히 정리해보고자 한다. 재미있는게 손익계산서를 보면 상품매출과 상품구입비가 있다. 이게 정확하지 않지만, 제조사로부터 휴대폰을 사서 팔 때 생기는 계정으로 보인다. 휴대폰을 사면 상품매입비, 신규가입자에게 휴대폰을 팔면 휴대폰 가격이 상품매출로 기록되는 것 같다. (회사에 확인해보지는 않았다) 그런데 항상 상품구입비보다 상품매출이 작다.. 즉 사오는 가격보다 파는 가격이 더 싸다. 다시 말해 핸드폰 에 통신사보조금을 얹어서 판매하는데, 이 보조금의 크기를 유추해볼 수 있다.
1Q10 | 2Q10 | 3Q10 | 4Q10 | 1Q11 | 2Q11 | 3Q11 | 4Q11 | 1Q12 | |
상품매출 | 794 | 796 | 1,054 | 1,112 | 1,088 | 1,190 | 843 | 1,143 | 961 |
상품구입비 | 956 | 953 | 1,147 | 1,233 | 1,162 | 1,276 | 932 | 1,242 | 989 |
상품손익 | -162 | -157 | -93 | -121 | -74 | -86 | -89 | -99 | -28 |
신규가입자수 | 1,855 | 1,752 | 2,037 | 1,636 | 1,684 | 1,861 | 1,621 | 1,808 | 1,410 |
가입자당매출 | 428,032 | 454,338 | 517,428 | 679,707 | 646,081 | 639,441 | 520,049 | 632,190 | 681,560 |
상품손익률(보조금가격/휴대폰가격?) | -20.4% | -19.7% | -8.8% | -10.9% | -6.8% | -7.2% | -10.6% | -8.7% | -2.9% |
가입자당상품손익(휴대폰대당보조금?) | -87,332 | -89,612 | -45,655 | -73,961 | -43,943 | -46,212 | -54,904 | -54,757 | -19,858 |
자 이 표는 실적발표 자료를 가지고 내가 정리한 것이다. 통신사가 가입자가 그닥 늘지는 않지만, 신규가입과 이탈은 계속 이루어진다. 새로운 가입자에게 핸드폰을 팔고, 그 때마다 상품매출이 발생한다면, 상품매출을 신규가입자수로 나누면 핸드폰 가격이 될 것이다. 그리고 상품매출과 상품구입비의 차이, 즉 상품 손익을 신규가입자수로 나누면
보조금 규모가 될 것이다.
자 정리하면 위와 같은 표가 된다. 여기서 내가 주목한 부분은 1Q12에 상품손익률이 -3%대로 급감하면서 영업이익개선에 상당부분기여했다는 점이다. 물론 전반적으로 신규가입자가 141만명으로 많이 줄었고, 그에 따라 상품매출 규모도 줄긴했지만… 내가보는 것은 가입자당 손익규모인데 이게 대략 4~5만원 선에서 2만원 선으로 줄어든 것이다. 이것을 어떻게 해석할 수 있을까?
나는 아이폰을 떠올렸다. 아이폰은 제조사보조금을 주지 않아 통신사에서 보조금을 많이 얹어주는 것으로 알려져있고 최근 1분기 실적발표 때 미국의 통신업체는 애플에게 나가는 보조금을 없앨 것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그 기사를 보면 아이폰 가격 650$ 중 통신사가 450$나 보조금을 지급한 것으로 나와있다. 또 국내에서도 아이폰에 대당 40만원씩의 보조금을 준다는 (물론 사실여부가 불투명하나..) 이야기도 있었다. 그렇다면 대당 아이폰과 기타폰의 보조금이 만일 30만원 가까이 차이가 난다면, 아이폰의 판매점유율이 10%하락한다면 평균적인 대당 보조금은 3% 정도 하락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럼 어떻게 될까? 3만원*140만명 = 420억원의 영업이익개선(보조금축소로 인한)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아니 편하게 계산하려면 그냥 분기 아이폰 가입자 30만명 줄었다면, 30만명*30만원=900억 보조금 감소효과가 있다. 실제 아이폰의 내수시장점유는 1분기 급감한 것으로 추정된다. 4S가 나올 때 잠깐 많이 팔렸으나, 아이폰5에 대한 기대도 있고 통신사가 LTE폰을 적극 드라이브 건 것도 있고, 삼성 휴대폰이 잘팔린 덕도 있고, 여러 이유로 국내 휴대폰 시장에서 아이폰의 1분기 점유율은 크게 낮아진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1분기 KT의 무선부문에서의 실적은 다음과 같이 해석이 가능하다. 1분기 애플 시장점유율 감소로 보조금지급에서 상당부분 개선이 있었고, 신제품 출시에 대한 기대로 신규수요가 줄어 이동이 줄어들면서 전반적인 마케팅(보조금 등) 규모가 줄어든 것이 개선된 실적의 원인이라는 것이다. 위 결론을 좀더 일반화 하면 다음과 같다. 통신사들의 무선사업의 손익은 가입자간 이동이 작을 경우 비용이 감소되어 좋아지고, 많은 경우 나빠진다. 이 명제를 좀 더 응용하면, 인기휴대폰 출시를 앞두고는 통신사 실적이 좋아지고, 휴대폰이 출시되어 신규수요가 많은 시점에서 그만큼 또 실적이 단기로 나빠질 것이다.
그렇다면 무엇이 문제인가? 통신사 영업이익을 분석할 때 기본적으로 ARPU를 분석하는 것은 맞다. KT의 경우만해도 1000원의 ARPU변화는 매출 2,000억 정도 영향을 준다 (12000원*1660만명) 그런데 그 다음으로 고려하는 것이 마케팅 비용인데.. 여기서 나의 가정이 맞다면 상품손익에 주목하지 않으면 안된다. 상품에서의 손익의 변화가 단기변동에 꽤 영향을 미친다. 아이폰이 얼마나 팔리느냐가 통신사 손익에 생각보다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점도 알 수 있다. 위의 표를 보면 약간 이런 전제가 맞는지 해석이 애매한 부분이 있는데 나의 예상이 정확한 것인지는 나중에 확인해보도록 하려고 한다.
과연 1분기 실적에 대해 애널리스트들이 어떻게 코멘트들을 하고 내가 생각한 것들을 지적하는지 내일 나오는 KT 1분기 실적 관련 보고서들이 흥미로울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