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명 독수리 타법으로 알려진 타자방법.
오른손 왼손 검지손가락만을 이용하여 타자를 치는 방법이다.
여러 손가락을 키보드에 올려놓으면 자판이 안보이니 초보자들은 당연 독수리타법부터 시작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이 방법도 숙달하기 나름이어서 어떤 사람은 독수리 타법으로 300타 가까운 굉장한 타수가 나오기도 한다. 하지만 역시 단순한 방법이기에 그것에는 한계가 있다.
이런 사람들하고 대화하면 보통 이렇다.
‘두 손가락으로 그만 치고 이젠 열손가락으로 차근차근 연습해라, 그래야 늘지’
‘나 해봤는데 아무래도 이게 편해. 타수도 이정도면 되고, 열손가락으로 쳐봐야 너무 느려서 답답해서 못하겠더라고.’
‘그래도 두 손가락은 한계가 있으니깐, 지금이라도 열손가락으로 제대로 치는 거 연습해 그게 평생 도움이 될거다.’
‘어쨌든 난 이게 편하다니깐. 너한텐 그런지 몰라도 난 이걸로도 하나도 안불편하고 다 할 수 있어.’
이런 사람들을 만나서 답답함을 느껴보신 일이 있는지? 여기서 이야기하고 싶은 것은 독수리 타법으로 타자치는 사람들이 답답하다는 것이 아니라 우리도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 자신이 고수하고자 하는 독수리 타법들을 하나씩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무언가 변화를 꾀한다는 건 이런 어려움이 따른다. 익숙한 것에 우리는 안주하고 싶다. 그러나 그러한 변화의 두려움과 습관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할때 주어지는 어려움으로부터 인내하는 과정을 거치면 우리는 더 멀리 나아갈 수 있다.
개구리가 더 멀리 뛰기 위해서는 순간적으로 움츠러 들어야 하는 것이다. 그 움추림을 견디지 못한다면 더이상 앞으로 뛰어나갈 수 없다. 멀리뛰기 위해서 움츠려야 하고 변화를 위해서는 인내와 적응이 필요하다. 그리고 그 인내와 적응은 미래의 변화된 나, 변화된 공동체를 바라볼 수 있는 비전이 있을 때 가능하다.
그 비전은 혼자만의 예상으로 확신하는 것이 아니라 치밀한 사전 연구와 계획, 다른 것과의 비교를 통해 비로소 확신하게 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