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흐, ‘영원의 문턱에서’


자기 작품 속에 한 사상을 담는 것이 화가의 의무라고 생각한다. 이 그림 ‘영원의 문턱에서’에서 나는 밀레가 믿었떤 무엇인가 ‘높은 곳에 있는 것을 표현하려 하였다.

즉 하나님의 존재와 영원이 있다는 것을 가장 강력하게 입증해 보이려고 하였따. 화덕가 모퉁이에 조용히 앉아 있는 작은 노인을 감동 깊게 표현함으로써, 그 노인은 깨닫지 못하겠지만 영원에 가 닿은 것을 분명하게 그려보려 하였다. 동시에 이 그림는 벌레에게는 있을 수 없는 무엇인가 고상하고 위대한 것이 있다…. Uncle Tom’s Cabin 에 보면 불쌍한 노예가 곧 죽을 것을 알면서 마지막으로 아내와 함께 앉아서 회상하는 가장 아름다운 구절이 있다.

난폭한 대홍수처럼 몰려 오라
슬픔의 폭우여 쏟아져내려라
다만 나는 내 집에 평안히 이르리라
내 하나님, 내 하늘나라, 내 모든 것이여

이것은 참으로 그 어떤 신학도 표현할 수 없는 것이다. 화덕가에 앉아 있는 가난한 벌목공, 아니면 거친 들판의 농부, 아니면 광부마이 가질 수 있는 영원한 집에 있다는 느낌, 그곳에 가까이 있다는 느낌을 주는 영감의 순간이다.

(1882년 11,12월, 헤이그, 고흐의 편지 #248, Letters 1:495)

고흐, 뒤집어진 게


잘 알려지지 않은 고흐의 그림이다.

뒤집혀져 있는게

처음 탁 보는 순가 게의 모습이 너무나 우스꽝스럽다 생각했다.

바둥바둥대는 게의 모습.

조금 지나자 안쓰러워졌다.
웬지 불쌍하고 안되보였다.
도로 뒤집어 주고 싶은 마음이 들지만 그럴 수 없으니
그림속에 갇힌 게는 영원히 뒤집혀져 있어야 한다.

고흐는 게를 보고 무엇을 느꼈을까.
스스로를 뒤집을 수 없는 게의 모습은 연민과 고독을 느끼게 한다.

——————-

어찌 보면 하나님 앞에서의 나의 모습도 이 게와 마찬가지 일거라는 생각을 해본다.

누군가 뒤집어주지 않으면 살아갈 수 없는 존재, 그것이 하나님 앞에서의 나라는 존재일 것이다.

고흐는 신앙의 눈으로 이 게를 통해 자신의 모습을 묘사하고 싶었을지 모른다.

루오, ‘성안’


정말로 숨이 멎는 그림이다..


이루 형언할 수 없는 놀라움과 경외심이 들도록 만드는 그림이다..


저 큰 눈동자와 굳게 다문 입술로 응시하는 모습이 나에게 무언가 말씀하시는 것만 같다..


성안..


누군가 골고다 언덕을 오르시는 그리스도의 땀을 닦아 주었는데 그 세마포에


그리스도의 형상이 나타나자 기적이라고 하며 그 얼굴을 성안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정말 머라고 표현하기 힘든 대단한 작품이다..

렘브란트, ‘십자가에서 내림’


The Descent from the Cross, 1633, oil on wood, Pinakothek at Munich

예수님의 시체를 내리는 장면을 그린 렘브란트의 그림. 십자가는 T 형 십자가로 그려져 있다.
빛이 쏘는 곳은 예수님의 전신. 이 그림이 특이한 것이 있다면… 예수님의 하체가 드러나 있다는 점이다.

보통 십자가에 달리신 예수님의 그림을 보면 하체에 하나 걸치고 있는데. 그것은 화가가 어쩔 수 없이 그린 것일 뿐. 본래 예수님께서 십자가에 달리실 때는 아무것도 걸치지 않으셨다. 군병들은 예수님의 속옷을 제비뽑아 나눠가졌다. 그리고 예수님께서는 수많은 군중들 앞에서 아무것도 걸치지 않으시고 십자기에 오르셨다. 최고의 치욕이었다.

그분은 침을 맞았다. 어쩌면 육체적 고통보다 정신적인 수모가 더 견디기 어려웠을지 모른다. 우리 나라 여인들도 정절을 지키기 위해 목숨을 끊었던 것을 보면 못숨보다도 정절, 혹은 자존심, 자기 정체성은 인간에게 더 소중한 것이다. 그것을 잃는 것은 육체적으로 고통당하는 것보다 더 참기 어려운 일이다. 그러나 예수님께서는 그러한 수욕도 참아내셨다. 히브리서에 보면 그 분은 그래서 우리의 연약함을 이해하신다. 머리가 아니라 동일한 감정으로.

십자가에 핏자국이 너무나 선명하다. 왼손, 오른손, 그리고 기둥에, 예수님께서는 물과 피를 다 쏟으셨다. 피흘림이 없이는 죄사함이 없느니라…

이 그림에 나오는 사람들을 잘 살펴보면 또다른 놀라운 사실을 발견하게 되는데 이는 용균형의 글로 알게된 것이다. 형의 글을 여기 실어본다.

‘렘브란트의 그림으로 십자가에서 내려지는 예수님을 그린 것입니다.
그런데 곰곰히 생각하게 만든 것은 예수님 팔을 붙잡고 있는 파란 옷의 사나이였습니다.

그림이 작아서 표정이 잘 안드러나지만 그래도 이 사람 얼굴을 자세히 들여다봤으면 좋겠습니다.
책에 이 사람에 대해 쓰여 있는 표현이 이해에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예수님의 몸을 내리는데 도움을 주고 있는 파란옷의 이 사람은
 뉘우치는 그리고 고통으로 동요된 모습으로 슬퍼하고 있다.’
그 얼굴을 다시 한번 가만히 들여다보면 좋겠습니다.
책에 실린 도판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예수님의 고통으로 일그러진 얼굴,
그리고 이 파란옷의 사나이의 표정을 좀더 잘 볼 수 있습니다.
(파란옷의 사내는 그림의 어떤 등장인물보다도 더 슬픈 모습입니다.
우리가 예수님의 고난을 생각할 때 느끼는 그 마음이 이 사람 얼굴과 동작에서 느껴집니다.
예수님의 얼굴과 이 사람의 얼굴을 번갈아가며 봅시다.)
도대체 이 사람이 누구길래…
이 사람은 렘브란트의 또다른 그림에 등장합니다.
십자가를 세우는 것을 그린 그림에서 못박힌 예수님의 발 옆에서 울고 있는 군인으로 나오고 있습니다.
이 사람은 요한도, 베드로도, 그 밖의 사도도 아니고, 실제 군인도 아닙니다.

바로 화가 자신입니다. 십자가 옆에서 울고 있는…
그림을 보면서 찬송가가 생각났습니다.
“거기 너 있었는가 그 때에
주가 그 십자가에 달릴 때…”

주님의 고난을 함께 하고자 했던 렘브란트…
오죽 했으면 이전에 어느 화가도 시도하지 않았던 그림…자신을 그 현장에 그려넣었을까요.
그는 정말로 믿음의 사람이었다고 생각합니다.

많은 것을 생각해볼 수 있었습니다. 너무 감정에 치우칠 수도 있겠죠.
허나 그처럼 십자가를 바라보며 회개하고 눈물 흘리는 사람이 되고 싶군요.
날마다 십자가 앞으로 나아가는 자가 되고 싶습니다.’

예수님 왼편에 저 팔을 끌어안고 있는 사나이가.. 바로 램브란트 자신이다. 예수님의 죽음 앞에 그는 비통했을까?
바울이 그랬다. 그리스도의 죽음에 동참하는 이유는 그의 생명(부활)에 참예하기 위함이라고. 우리가 그의 죽음에 동참하면 우리 육신은 죽은바 되고, 우리 영은 그리스도를 살리신 하나님의 영으로 말미암아 살 것이라고. 그러나 목격하는 것이 동참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스도의 죽음에 동참한다는 것은 자신의 육신과 행위를 의지하는 것이 아니라 오직 십자가에 달리신 그리스도를 믿고 의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세례를 받음으로 우리는 그리스도의 죽음에 동참한다. 예수님께서 십자가에서 죽으신 것은 율법에 의한 죽음이었다. 우리도 그분과 똑같이 십자가 위에서 죽는다. 그것은 율법으로 말미암아 우리 육신이 죽는 것이다. 이것은 비유가 아니라 말 그대로 우리는 죽는다. 그리고 예수님과 똑같이 우리는 부활한다. 그것은 영으로 사는 것이다. 이것이 예수님께서 니고데모에게 말씀하신 거듭남의 비밀이 아닐까? 우리가 부활하면 율법은 더 이상 우리의 주인이 아니고 우리는 더 이상 그에게 구속될 필요가 없다. 하나님 안에서 참 자유를 누리며 사는 것이다. 삶은 언제나 감격이 넘치는 것이다.

내가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박혔나니

십자가 앞에서서 구경하는 것이 아니라 내 손에도 못박히는 것이다. 이것은 자기를 부인하고 자기 십자가를 지라는 예수님의 말씀과는 전혀 다른 의미이다.(이건 십자가를 등에 지고 따라가는 것이지 못박히는 것과는 의미가 전혀 다르다.) 그렇게 해석하면 안된다. 율법에 대해 죽으라는 의미이다. 율법에 대해 죽으면 우리의 육신은 죄로 말미암아 죽고, 우리의 영은 하나님의 능력으로 말미암아 산다. 이것이 놀라운 신비이다. 영원한 자유함을 누리는 비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