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벤스, ‘십자가에서 내림’


The Deposition, 1612, oil on wood, Antwerp Cathedral


렘브란트의 십자가에서 내리는 그림과 비교해서 보면 재미있다. 그림의 내용도 같고 시점도 비슷하지만 좀더 클로즈업 되어 있고, 루벤스 답게 색이 풍부하다.


남자의 붉은 옷과 흰 두루마기가 눈에 확 드어온다. 붉은 옷은 마치 흘러내리는 보혈을 상징하는 듯하다. 예수님의 몸의 묘사는 매우 건장한데 이것은 또한 한스홀바인의 그림과 비교해보면 좋다.


그가 이렇듯 건장하게 그린 것은 그저 아름다운 육체의 표현을 하고 싶었던 것이고, 주제는 그 목적을 위한 도두였던 것 같다. 그림의 주제보다는 대각선 구도나 육체표현 등의 미술적인 것에 더 관심을 가지고 그린 그림이라고.. (아는 것은 없지만) 마치 그렇게 보인다. 램브란트나 한스홀바인의 그림보다는 감동은 덜하다. 하지만 흰색과 붉은 색의 대비는 아주 강렬한 인상을 준다.


그러나 이 그림은 어쨌거나 비통한 그림이며, 여인들의 표정묘사도 그렇다. 그리스도의 표정은 완전히 지친 듯하다.

오토 딕스, ‘열 처녀의 비유’


그 때에 천국은 마치 등을 들고 신랑을 맞으러 나간 열 처녀와 같다 하리니
그중에 다섯은 미련하고 다섯은 슬기 있는지라
미련한 자들은 등을 가지되 기름을 가지지 아니하고
슬기있는 자들은 그릇에 기름을 담아 등과 함께 가져갔더니
신랑이 더디 오므로 다 졸며 잘새
밤중에 소리가 나되 보라 신랑이로다 맞으러 나오라 하매
이에 그 처녀들이 다 일어나 등을 준비할 새
미련한 자들이 슬기있는 자들에게 이르되 우리 등불이 꺼져 가니 너희 기름을 좀 나눠 달라 하거늘
슬기 있는 자들이 대답하여 가로되 우리와 너희의 쓰기에 다 부족할까하노니 차라리 파는 자들에게 가서 너희 쓸 것을 사라 하니
저희가 사러 간 동안에 신랑이 오므로 예비하였던 자들은 함께 혼인 잔치에 들어가고 문은 닫힌지라.
그 후에 남은 처녀들이 와서 가로되 주여주여 우리에게 열어 주소서
대답하여 가로되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내가 너희를 알지 못하노라 하였느니라
그런즉 깨어 있으라 너희는 그 날과 그 시를 알지 못하느니라(마 25:1-13)

고흐, ‘첫걸음’


고흐의 가장 아름다운 그림이라 생각한다. 밀레작품의 모작이지만… 밀레와 같이 그도 농민들의 삶에서 어떤 의미를 찾아내려고 했던 것으로 보인다. 일하던 아버지는 삽을 내려놓고 이제 곧 첫 걸음마를 떼려는 아이를 향해 두 팔 벌리고 있다. 아이도 아버지를 바라보며 같이 두 팔을 벌렸다. 아버지는 앞에서 아이를 반기고 어머니는 뒤에서 흐뭇한 모습으로 받쳐주고 있다. 얼마나 아름다운 장면인지!

인생은 과연 무의미한가? 인간은 이 세계에 이유를 모르고 태어난 외딴 섬인가. 우연히 만들어졌나. 인간은 기계, 분자들의 집합인가. 결코 그렇지 않다. 인간은 하나님의 피조물이다. 이 세상은 인간을 위해 지어졌다. 인간의 삶은 특별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첫걸음을 떼는 아이의 모습은 사람의 일생중 가장 희망한 장면을 보여준다. 희망, 삶의 의미, 존재의 이유. 나는 고흐의 첫걸음에서 이런 것들을 발견한다. 보고만 있어도 기분이 좋아지는 그림이다. 고흐의 그림에서도 이렇게 아름다운 장면을 찾아낼 수 있다니!

———————————

내가 고흐의 영성과 예술을 읽으면서 이 그림을 다시 떠올렸다. 고흐의 그림 속에서 이렇게 아름다운 그림을 찾을 수 있었던 것은 그의 마음에 가득한 삶을 바라보는 따스한 눈길, 농민의 삶 속에서 찾았던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삶의 전형, 삶의 가치를 담아내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그나저나 밀레의 그림은 따뜻하기 그지 없다… 그림만 바라보아도 행복해질 것만 같다.

2002.4.18

———————————

넷 아트홀에서 퍼온 글…

이 작품은 고흐의 1890년 작품으로 밀레의 그림을 다시 그린 것입니다.
너무나도 아름다운 장면이지요. 한 아이가 처음 걸음을 내딛으려 하는 순간입니다. 주저하고 망설이면서도 무척이나 설레이는 듯한 아이 그리고, 아이의 첫걸음을 애정어린 시선으로 함께하는 부모. 아주 행복하고 아름다운 풍경입니다.


하지만, 이 그림이 그려질 당시의 고흐는 그리 행복하지는 않았답니다.
1889년 5월에 고흐는 생레미에 있는 생 폴 드 무송 정신병원에 들어가 그 곳에서 1년 정도를 보내게 됩니다. 고독과 죽음에 대한 공포 그리고 광기와 싸워야 했던 당시의 고흐의 그림에는 세상으로부터 버림받는다는 두려움과 슬픔이 짙게 배여 있습니다. 당시 고흐는 현실속의 사람들을 그리는 대신 밀레, 들라크루아, 렘브란트, 도미에등의 작품속 인물들을 다시그리곤 했는데요, 이 작품도 그 중 하나입니다.


이 작품에는 두려움과 슬품 그리고 고독보다는 설레임과 행복 그리고 사랑이 가득한 듯합니다. 힘들었던 시기지만, 고흐에게 자신과 똑같은 빈센트라는 이름을 가진 조카가 생긴 해 였습니다. 아마도 이 그림은 자신의 조카를 생각하면서 그린 그림이지 않나 싶습니다. 그들의 행복을 빌면서 말입니다.
혹은 자신이 버렸던 크리스틴과 그녀의 아이를 생각했을까요. 평생 자신이 이루지 못했지만, 가슴 깊이 동경한 삶의 풍경일까요 어떤 경우든 고흐는 이 그림을 그리면서 자신의 고독하고 죽음의 그림자가 짙게 드리워진 자신의 덧없는 인생에 한없이 슬퍼했을거란 생각이 드는군요.

밀레의 그림을 다시 그린 것이기는 하지만, 고흐의 비극적인 개인사와 겹치면서 많은 생각을 하게 합니다. 보르헤스의 소설중에 세르반테스의 돈키호테를 글자 하나도 틀리지 않고 다시 배껴 쓴 작품역시 위대한 작품이라는 내용이 나옵니다. 맥락을 강조한 것이리라 생각되는군요.
고흐라는 맥락은 이 작품을 한없이 아름답게도 한없이 울적하게도 만드는 것 같습니다.

루벤스, ‘의심하는 도마’


카라바조의 그림과 비교하며 보면 재미있다. 루벤스와 카라바조는 거의 동시대 사람이다.
이 그림에서의 그리스도는 기품이 있고 위엄이 넘쳐보이는 신성한 사람으로 보이는 듯 하고, 카라바조의 그리스도는 상대적으로 평범한 인물로 보인다.
저 두 팔을 벌린 포즈는 루벤스 그림에서 자주 나오는 모티브이다.

두 제자는 놀란 듯이 보고 있고 한 제자는 눈을 들어 쳐다보고 있다. 생각건데 저 얼굴이 도마인 것 같다. 표정을 봐도 잘 못믿겠다는 표정이다.
두 부류의 제자들이 명확하게 대조를 이루고 있다. 도마가 예수 그리스도를 쳐다보는 눈길은 심상치 않다.

오토 딕스, ‘십자가를 지심’


개와 같이 목에 밧줄을 묶었다. 앙상한 발목은 힘이 풀렸다. 예수님은 언덕을 기듯이 올라간다.
채찍을 든 사람은 무자비한 표정을 지녔다. 구경하는 사람들은 호기심으로만 쳐다본다.


그 누가 이 사람이 자신을 위해 올라가는 것을 깨달았나? 그저 호기심어린 눈으로 하나님을 빙자해서 사람들을 선동한, 한 목수의 아들의 죽음으로만 알았을 뿐. 그리스도의 표정은 무엇을 말해주고 있나


그는 하나님이셨다.